- 0x0000007b
- 2차세계대전
- 3.20해킹
- 4대강
- 502 error
- 53빌딩
- 7840hs
- 88체육관 수영장
- ABI
- abortive close
- abortive shutdown
- AHCI
- aic8800d80 chipset
- akmods
- ALC1220
- alma linux
- alternatives
- AM4 메인보드
- AMD
- amd 7840hs
- amd 그래픽 게임용
- amd 내장 그래픽 최적화
- anonymous file
- API
- apple.com
- APT
- apt-get
- Armagnac
- Asrock
- ASTALIFT
- Today / Yesterday
- /
- Total
Linux Programmer
GNOME3 desktop environment에서 기본 파일관리자 변경하기 GNOME3환경에서 cinnamon nemo 파일관리자를 기본 애플리케이션(default application)으로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 개인적으로 기본 파일관리자보다 cinnamon의 nemo가 더 좋은 것 같다. (아래 명령은 CentOS와 Fedora에서 실행한 것이다. debian 계열은 패키지 관리자 명령만 apt로 바꾸면 된다.) 0. nemo는 미리 설치해둔다. yum을 사용한다면 yum install nemo 로 명령하면 된다. dnf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dnf install nemo로 설치하면 된다. 설치 시 cinnamon 환경에서 사용하는 의존성이 걸린 패키지들이 같이 설치될 것이다. 1...
IT용어 중에 SCSI를 뭐라고 읽을까? 스카시로 읽는 것이 맞을까? SCSI는 scuzzy로 읽는다. 그래서 scuzzy로 검색해보면 반대로 SCSI가 뜨기도 한다. 이렇게 IT 용어들 중에는 발음이 애매한 것들이 많다. 그 중에서 틀리게 발음하는 것들 몇 가지를 정리해보자. 1. SCSISCSI는 정식으로는 scuzzy로 발음한다. 한국식 발음으로 적으면 "스커지"가 되겠다. 그러나 구글에 검색해보면 위키백과에 "스커지/스카시"라고 적혀있는데, "스커지"는 맞지만 "스카시"는 틀린 발음이다. 특히 한국에서 스카시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건 용산전자상가의 용팔이가 일본에서 물건을 떼오던 시절에 일본 아키하바라에서 스카시로 읽던 것을 그대로 들여와서 굳어진 것이다. 일본어를 배우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Windows 시스템에서 java를 설치했다가 삭제 후 다른 버전으로 설치한 경우에 java.dll 혹은 Java SE Runtime Environment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에러 현상 : Error message C:> java.exeError: opening registry key 'Software\JavaSoft\Java Runtime Environment'Error: could not find java.dllError: Could not find Java SE Runtime Environment. java 실행시 위와 같은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Java가 설치되어있음에도 그 경로를 찾지 못하는 것이다. 2. 에러 해결 방법 먼저 java가 설치..
1. MPV 설정 파일 (mpv.conf, input.conf) mpv 설정 파일은 크게 2가지가 있다. 첫번째로 mpv.conf라는 화면 크기, 위치, 재생 상태, 폰트 크기, 볼륨 등 mpv 본래의 기능을 설정하는 파일이고, 두번째로 input.conf는 단축키를 재지정할 수 있는 설정 파일이 있다. 1.1. mpv.conf 메인 설정 파일 mpv는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애용되는 미디어 플레이어이다. default 설정도 크게 불편하지는 않지만 조금 더 손보면 좋다. mpv.conf 설정 파일의 위치는 ~/.config/mpv/mpv.conf 이다. 디렉터리는 mpv를 한번이라도 실행하면 자동으로 만들어지지만, 직접 만들어도 된다. 우선 본인이 쓰는 설정은 대충 다음과 같다. keep-open=al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