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x0000007b
- 2차세계대전
- 3.20해킹
- 4대강
- 502 error
- 53빌딩
- 7840hs
- 88체육관 수영장
- ABI
- abortive close
- abortive shutdown
- AHCI
- akmods
- ALC1220
- alma linux
- alternatives
- AM4 메인보드
- AMD
- amd 7840hs
- amd 그래픽 게임용
- amd 내장 그래픽 최적화
- anonymous file
- API
- apple.com
- APT
- apt-get
- Armagnac
- Asrock
- ASTALIFT
- audacious player
- Today / Yesterday
- /
- Total
Linux Programmer
GNOME3 파일관리자를 nemo로 default application 설정하기 본문
GNOME3 desktop environment에서 기본 파일관리자 변경하기
GNOME3환경에서 cinnamon nemo 파일관리자를 기본 애플리케이션(default application)으로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 개인적으로 기본 파일관리자보다 cinnamon의 nemo가 더 좋은 것 같다. (아래 명령은 CentOS와 Fedora에서 실행한 것이다. debian 계열은 패키지 관리자 명령만 apt로 바꾸면 된다.)
0. nemo는 미리 설치해둔다.
yum을 사용한다면 yum install nemo 로 명령하면 된다. dnf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dnf install nemo로 설치하면 된다. 설치 시 cinnamon 환경에서 사용하는 의존성이 걸린 패키지들이 같이 설치될 것이다.
1. nemo 설치 확인
우선 nemo를 실행해서 잘 되는지 확인해본다.
그리고 /usr/share/applications/nemo.desktop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해본다.
2. mimeapps.list 파일 편집
vi ~/.config/mimeapps.list
아래와 같은 [Default Applications] 설정을 찾아서 첫째 라인에 넣어주면 된다. 만일 inode/directory= 라인이 있다면 변경해주면 된다.
[Default Applications]
inode/directory=nemo.desktop
아래 그림처럼 [제어판 > 장치 > 키보드] 설정에 가서 Super-E에 단축키에 nemo 실행을 넣어두면 좀 더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참고로 GNOME desktop환경의 기본 파일관리자는 노틸러스(nautilus)인데, 기능이 좀 별로다. 특히 정렬 기본값에 directory 먼저 정렬하도록 되어있지 않아서 꼭 dconf-editor로 org.gtk.settings.file-chooser/sort-directories-first를 켜줘야 하는 것도 귀찮고, list와 icon 뷰 2가지 밖에 없는 것도 그렇다.
그래서 cinnamon 환경 쓸 때 nemo가 너무 마음에 들어서 GNOME3에서도 nemo를 쓰는 편이다. 혹시라도 비슷한 이유로 파일관리자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위와 같이 변경해서 쓰면 된다.
'컴퓨터 관련 > 리눅스 데스크탑'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 13th gen (i5-1340p)의 리눅스 화면 끊김, 멈춤 증상 (4) | 2023.02.15 |
---|---|
Fedora : 구글 크롬 재설정 및 열려있는 탭(tabs) 목록 복원 (0) | 2022.07.25 |
Fedora 35 에서 youtube 재생 오류 (0) | 2022.05.03 |
리눅스 한글 입력기 nimf : Fedora33,40,41 (5) | 2021.01.04 |
Fedora 리눅스 업그레이드 후 크롬의 한글 입력기 문제 (0) | 2020.01.05 |
GNOME 데스크탑 : caps lock을 control로 사용하기 (0) | 2019.09.02 |
MPV 리눅스 미디어 플레이어 설정 (0) | 2018.08.19 |
페도라 17 : vmware에서 1920x1080 해상도 (0) | 2012.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