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x0000007b
- 2차세계대전
- 3.20해킹
- 4대강
- 502 error
- 53빌딩
- 7840hs
- 88체육관 수영장
- ABI
- abortive close
- abortive shutdown
- AHCI
- akmods
- ALC1220
- alma linux
- alternatives
- AM4 메인보드
- AMD
- amd 7840hs
- amd 그래픽 게임용
- amd 내장 그래픽 최적화
- anonymous file
- API
- apple.com
- APT
- apt-get
- Armagnac
- Asrock
- ASTALIFT
- audacious player
- Today / Yesterday
- /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73)
Linux Programmer
블루스크린 0x0000007B (윈도 XP) 얼마전 지인이 간단한 사무용 조립 PC 스펙을 하나 뽑아달라고 해서 i3 CPU에 B75 칩셋으로 뽑아주었다. 지인도 간단한 PC 조립은 스스로 할 수 있는 정도라서 부품 리스트만 보내주었는데, 윈도XP 설치 후 자꾸 블루스크린(에러코드: 0x0000007B)이 뜬다고 했다. 그러면 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블루스크린 0x0000007B는 하드 디스크와 DVD 드라이브를 잘못 꼽아서 발생한 했던 것이다. 물론 0x0000007B는 다른 이유로도 발생한다. 자세한 것은 Tim Fisher의 블로그를 참조하자. [1] 당시 메인보드는 Asrock B75M 이었는데, SATA3가 3개, SATA2가 5개가 지원되는 보드였다. 그림..
* 주의: 여기서 설명하는 getline은 C++의 getline 메소드와는 다른 것입니다. 혼동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fscanf는 기본적인 입력 받는 함수로 모든 C언어 기초 책에서 소개되고 있지만 개행 문자(new line)나 공백 처리에 곤란한 부분이 있어서 실무환경에서는 fgets + sscanf 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편이다. 하지만 scanf는 여전히 형식화된(formatted) 데이터, 즉 숫자나 문자, 공백으로 띄워진 문자열들을 처리할 때는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그렇다고해서 scanf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완전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 scanf의 문제점 scanf("%c", ...) 로 읽는 경우에는 개행 문자를 사용자 입력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문자 입력 후 엔터를 치면 다음번 s..
Glenfarclas 105 (글렌파클라스 105) 종류 : 싱글몰트 위스키지역 : 스코틀랜드 - 하이랜드(Highland)증류 : 글렌파클라스 증류소숙성 : 10년 (Oloroso sherry cask, natural cask strength)알콜 : 60% (105 proof) 글렌파클라스는 몇 안되는 가족 경영 위스키 증류소 중에 하나이다. 참고로 현재 스코틀랜드에는 스프링뱅크, 글렌파클라스, 글렌피딕이 가족 경영을 하고 있다. 글렌파클라스 증류소는 올로로소 쉐리 캐스를 1회 혹은 재사용하여 숙성 캐스크로 사용하고 있으며 뚜렷한 자기만의 색깔을 보여주는 증류소로 유명하다. 매년 빈티지 위스키를 내놓아서 유명하기도 하다. 글렌파클라스 105의 유래는 보틀 케이스에 적혀있다. 1968년에 현재 증류소 ..
오반 14년 (Oban 14 years old)종류 : 싱글몰트 위스키지역 : 스코틀랜드 - 하이랜드 (West Highland)증류 : 오반알콜 : 40% ABV숙성 : 14년 (아메리칸 오크 캐스크) 오반은 디아지오의 클래식 몰트 6종 중에 하나로서 특이하게 14년 숙성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8, 10, 12, 15, 17, 18년...으로 발매하는 것에 비하면 좀 특이한 편이다. 물론 가끔 발베니14년처럼 특이한 제품도 있지만 이는 면세점용으로 나온 것이고 시중에 파는 오피셜 제품으로서 14년 제품은 거의 드물다. * 향몰트의 향과 시트러스의 느낌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향의 강도는 약한 편이다. (그러나 알콜내가 좀 나기 때문에 코를 톡 쏘는 느낌이 있는 편이다.)몰트의 향은 달달한 식혜의 느낌보다..
UDMA(Ultra DMA) 6 설정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현재 대부분의 시스템은 UDMA 6를 지원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주지 않으면 제대로 안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본인 PC도 설정이 되어있지 않았었는데, 별다른 느낌없이 써오다가 같은 스펙을 가진 PC의 HDD가 더 빠르기에 조사해보다가 UDMA 6가 설정되지 않은 것을 알게 되었다. 일단 본인의 하드 디스크가 UDMA mode 몇을 사용하는지는 HDTunePro를 사용해보면 알 수 있다. 위 그림처럼 "지원됨"과 "활성" 부분이 모두 UDMA Mode 6로 되어있다면 문제가 없다. 그러나 활성 부분이 더 낮은 값으로 되어있다면 지원가능한 모드보다 낮은 성능을 쓰고 있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Mode5 정도만 되어도 큰..
Bowmore 12 years old (보모어 12년) 종류 : 싱글몰트 위스키지역 : 스코틀랜드 - 아일라 (Islay)증류 : 보모어알콜 : 40% ABV숙성 : 12년 (아메리칸 오크 캐스크) 보모어는 아일라 위스키 중에 일본의 산토리에 합병된 증류소이다. 산토리에 합병 된 이후로 독창적인 색상을 잃었다는 평도 많이 받고 있지만, 오히려 대중적인 느낌을 강조해서 더 마시기 편하다는 평도 있다. * 향맥아의 달달한 향과 시트러스한 느낌의 향기가 주로 난다.그리고 약하게 밀크 카라멜 향기도 약간 느껴진다.훈연의 향은 약한 편이지만 확실하게 나기는 한다. 그래도 나도 아이라라고 말해주는 듯... * 맛첫맛은 너무나 부드럽다. 오일리한 느낌때문에 더욱 그런 것 같다. (이 부분은 아드벡과 비슷하다)스모키한..
Talisker Distiller's Edition TD-S: 5JV (탈리스커 디스틸러스 에디션)(Bottled in 2007, distilled 1993) 종류 : 싱글몰트 위스키지역 : 스코틀랜드 - 스카이 섬(Skye Island)숙성 : Non-Age-Statement (더블 매춰드: Bourbon & Jerez Amoroso Cask)알콜 : 45.8% 이 제품은 탈리스커의 증류소에서만 살 수 있는 제품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으니 그냥 한정판 느낌으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다. 숙성 년수는 특별하게 표기되어있지 않고 NAS인 것 같지만 보틀에 1993년에 증류했고 2007에 보틀링 했다고 쓰여있다. 즉 단순 계산으로 보면 약 14년 정도 숙성했다고 보면 된다. 숙성 방식은 더블 매춰드(doub..
Advanced 리눅스 시스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2nd Edition) 예제 소스 코드 예제 소스 코드 파일 : (2014년 8월 16일 수정판) * 압축을 풀면 하위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 생성된 하위 디렉토리에서 make를 명령하면 하위 모든 예제가 컴파일 됩니다. * make clean을 하면 하위 모든 컴파일된 예제의 바이너리가 청소(삭제)됩니다. 2014-08-1610장 리얼타임 확장 : aio_list.c aio_list_sig.c에서 치명적인 버그가 발견되어 수정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정오표에 업데이트 될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판은 약 200여 페이지가 새로 추가되어 부득이하게 책 무게가 늘었습니다. 또한 기존 내용중에서도 수정, 보완된 것으로 인해 4~50% 정도가 ..
어린이날 시간을 내서 삼성 엑스포에 갔다왔다.세계주류 박람회 때문에 갔는데...역시 작년처럼 와인이 메인이고 스피릿이나 타 발효주는 적었다. 와인은 잘 모르긴 하지만 꽤 대중적인 것들만 나와서 그런지 마셔본 것들이 많았다.그리고 세척하는게 귀찮아서 대여섯잔쯤 마셨을때 와인은 더 이상 안마시기로 했다. 의외로 사케쪽은 많이 참석했었다.일본측 스태프들이 한국어나 영어를 전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다행히 짧은 일본어로도 대충 대화가 가능해서 문제는 없었다.(애니메이션, 일드 보기 위해 배워둔 일어가 이렇게 쓸모 있었을 줄이야... ㅎㅎ) 한국에서 만든 새로운 맥주 브랜드인 세븐브로이의 IPA를 맛보앗는데생각보다 괜찮아서 놀랬다.캔맥으로도 나온다고 했는데 아무쪼록 합리적 가격과 좋은 품질을 유지했으면 좋겠다...
Adbeg 10 years (아드벡 10년) 종류 : 싱글몰트 위스키 지역 : 스코틀랜드 - 아일라(Islay) 숙성 : 10년 (아메리칸 버번 캐스크) 알콜 : 46% (non chill-filtered) 용량 : 700ml 아드벡은 아일라 섬의 위스키답게 피트가 강한 특징을 보인다. 피트의 느낌도 뭔가 퓨전적인 느낌이 아니라 그냥 피트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물론 아일라 위스키라고 해도 다 피트가 똑같은 것은 아니다. 아드벡하고 쿠일라가 좀 비슷하고 라프로익은 오히려 섬 위스키인 탈리스커하고 비슷한 면모를 보인다. 그에 비해 보모어는 약간 독창적인 느낌이고, 라가불린은 숙성을 셰리 캐스크에서 해서 그런지 피트가 오히려 약한 느낌이다.(개인적으로는 라프로익, 라가불린이 좋다.) 참고로 아드벡 10은 가격..
한국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 수영을 끝내고 수영장에서 나오다가 잠시 소파에 앉았는데, 소파 옆에 소식지가 있길래 집어들었다. 잠깐 보니 근처 초등학교 입학식에 구청 직원이 쓴 글이 있었다. 입학식 사진도 함께 있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은 작은 교실 같은 곳에서 입학식을 하길래, "그 중에 한 개 학급만 취재했나?" 생각했다. 하지만 그 옆에 올해 초등학교 입학생 33명 이라는 글귀가 보인다. 33명이라... 궁금해서 자료를 좀 찾아봤다. 2011년도 최근의 통계 자료 (출처: 2011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11년도 기준으로 초중고생은 698만명이고 초등학생은 313만명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80년대에는 초중고생이 1천만명을 넘었다. 초등학생은 약 500만명내외였었다. 아래는 83년도의 신문기사를 ..
Isle of Arran. Machrie Moor (아란. 마크리 무어) 종류 : 싱글몰트 위스키 지역 : 스코틀랜드 숙성 : NAS년 (아메리칸 버번 캐스크) 알콜 : 46% 용량 : 700ml 아란은 스코틀랜드의 서남쪽에 위치한 섬으로서 독특하고 다양한 시도를 통해 위스키를 생산한다. 실험적인 위스키 생산이 많기 때문에 한정판이 많다. 마크리 무어도 한정판으로서 9000 보틀을 생산했다. 아란은 다양한 시도를 하기 때문에 아드벡, 라프로익, 맥캘란 같은 증류로 이름만 대도 맛을 연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아란 기본 위스키는 향긋하고 달달하지만 셰리 캐스크 피니시를 입힌 경우에는 또 다르다. 그리고 와인 피니시의 경우에도 더욱더 다양해진다. 마크리 무어의 경우에는 피트 처리(14ppm)를 강..

원본 이미지 출처 : 손에 잡히는 vim 인사이트 출판사 원본 이미지 크기 : 3472x2546 , 2710x1751"손에 잡히는 vim" 책 맨 뒤에 있는 vim 키맵 단축키 모음입니다.(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이미지를 인사이트에서 예쁘게 재편집한 것입니다.) 인사이트 출판사에서 제작한 원본 이미지의 바탕이 아름다운 블랙 바탕이라 출력, 복사할 때 토너 범벅이 됩니다. 그래서 옅은 회색, 흰색으로 변경한 이미지를 올려둡니다. (인사이트 출판사에 올려진 블랙 바탕의 이미지에는 오타가 있으니 각 그림 파일의 수정 내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1. 명령어 단축키📌 그림 파일의 수정내역2013.01.07 숫자 0과 닫힌 소괄호")"의 오류 수정함 (zelon님)2024.12.03 원본 그림 파일 재업로드 2. 이..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위키미디어 재단)의 재정상태가 악화일로에 치닫고 있다. 그래서 창립자인 지미 웨일스가 기부를 호소하기에 이르렀다. (지미 웨일스의 원문) 올해 초 구글에서 200만달러, 그리고 이번에는 50만 달러를 내놓았다. 그 외에 다른 기업들도 위키피디어에 기부하는데... 한국은 아직 개인적인 기부 외에 기업들은 나서지 않고 있다. 특히 한국의 수많은 IT 기업 중 어느 하나도 위키피디아에 기부했다는 소리를 듣지 못했다. 참 한국 기업들의 자화상은 쪼잔하구나. 포탈기업들이나 수많은 IT기업들은 다 뭐하고 있는가? 개인적인 기부만 하는 한국 사회를 보니 기업들이 괜히 천민 자본주의 소리를 듣는 것이 아님을 실감하게 한다. 분명 알게모르게 그네들도 위키피디아의 혜택을 보고 있을텐데...
2011.11.9일자 MS office update로 이 문제는 부분적으로 패치되었다. 패치된 내용은 인덱싱보다 파일 저장을 먼저 하도록 하는 것 같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큰 파일을 여러번 저장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다. 그래서 아래 본문처럼 해결 방법을 설정해두는 편이 좋다고 생각된다. 특히 큰 파일을 편집할 때면 더더욱 그렇다. 엑셀의 공유 위반의 경우도 같은 맥락으로 해결된다. 1. 원인 및 증상 얼마전부터 MS워드 2010에서 큰 용량의 문서 파일을 저장하려고 하면 "파일 사용 권한 오류이므로 Word에서 파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왔다. 이런 경우에는 꼭 파일을 날려먹거나 한참 뒤에 저장함으로서 문제를 해결했는데... 어제 몇시간 작업한 것을 날려먹고 화가나서 해결책을 찾기 시..
얼마전 스티브 잡스가 눈을 감았는데, 그 보다 더 위대한 업적을 남기신 데니스 리치(Dennis Ritchie)도 눈을 감았다.(향년 71세, 1941년 9월 9일 – 2011년 10월 12일) 일반인들에게는 애플을 창업한 스티브 잡스가 더 위대하고, 더 많이 알려져있겠지만, 업적으로만 보면 스티브 잡스보다 훨씬 훌륭한 분이 바로 데니스 리치이다. (위키 참조: http://en.wikipedia.org/wiki/Dennis_Ritchie) 그의 가장 큰 업적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C언어로서 이것이야말로 현대적인 컴퓨팅 환경을 있게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조상이며 살아있는 전설이다. 만일 C언어가 없었다면 이렇게 발전된 컴퓨팅 환경이 오기 힘들었을 것이다. 지금의 리눅스, 윈도우즈, 맥의 OSX 등등 ..
Laphroaig 15 years old. Single Islay malt Scotch Whisky. 종류 : 싱글몰트 위스키 지역 : 스코틀랜드 아일라(Islay) 숙성 : 15년 (아메리칸 버번 캐스크) 알콜 : 43% 용량 : 750ml 라프로익은 아일라 위스키이다. 이는 즉 아일라 위스키의 특징인 헤비 피트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페놀의 향이 강한 탄내와 소독약 내음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데, 위스키 초보인 사람은 이 느낌 때문에 거부감을 가지기도 한다. 하지만 위스키를 많이 마시다보면 대부분 이 느낌을 좋아하게 되고 아일라 위스키에 매료된다. 물론 사람에 따라서는 화사한 느낌의 하이랜드 위스키를 더 좋아하는 사람도 있으니 꼭 아일라 위스키의 호불호에 따라 내공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
스티브 잡스(Steve Jobs, 1955-2011) 2011년 10월 5일 눈을 감다. 가장 치열하고 가장 빠르게 발전했던 IT시대였던 80년대 ~ 2000년대까지의 산 증인이며 그 변화의 중심에서 발전을이끌어냈던 그가 어제 눈을 감았다. 그가 있었기에 그의 영감에 자극받았던 경쟁자들은 더욱 열심히 IT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 자신은 뛰어난 프로그래머도 학문적인 천재도 아니였다. 예로 마우스는 제록스의 연구소에서 가져온 것이고 최근의 Mac OSX는 유닉스에서 가져왔다. 하지만 여기에 다양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접목시켰던 것은 그의 생각이었다. 그 누군가가 보기엔 콜롬부스의 달걀이 쉬워보일 수 있다. 이미 다 있는 것 아니냐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개척자의 한 걸음은 이..
우리가 사용하는 수 많은 에디터들 중에 가장 좋은 에디터란 어떤 것일까? 하지만 이런 질문은 좀 잘못된 질문이다. 왜냐하면 가장 좋은 에디터라는 것은 특정 분야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질문을 바꿔서 general하게 사용할 수 있는 2위의 쓸만한 에디터는 무엇일까? 이에 대한 답으로 위의 4컷 만화가 생각난다. 이는 vim.org에 있는 만화인데, 너무 심플하지도 않고 너무 무겁지도 않은 에디터가 좋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개인적으로 2위의 쓸만한 에디터가 갖춰야 하는 조건부터 나열해보자.(이건 개인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많은 동료들도 공감했던 이야기이다.) 1) 가벼워야 한다. 2) 많은 플랫폼에 포팅되어 있어야만 한다. 3) 텍스트 환경에서도 가능해야 한다. 4) 확장이 가능..
Maker's Mark - Bourbon whisky 종류 : 버번 위스키 지역 : 미국 - 켄터키(Kentucky) 증류 : 메이커스 마크 알콜 : 45% ABV 숙성 : 6년 (barrel : 200L) 가격 : 4.9만(x마트) 메이커스 마크는 프리미엄 버번 위스키로서 잭 다니엘보다 급이 높은 위스키이다. 특징으로는 단식 증류기(Pot Still), 수작업 생산과 스몰 배치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단식 증류기는 보통 스카치 위스키만 사용한다. 대부분의 버번 위스키는 연속식 증류기를 이용해서 빠른 생산을 한다. 스카치 위스키는 단식 증류기의 구리와의 접촉으로 특별한 느낌을 가지는데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하는 버번은 좀 가벼운 느낌을 가진다. 그래서 위스키 철자도 틀리다. 스카치 위스키는 Whisky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