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x0000007b
- 2차세계대전
- 3.20해킹
- 4대강
- 502 error
- 53빌딩
- 7840hs
- 88체육관 수영장
- ABI
- abortive close
- abortive shutdown
- AHCI
- aic8800d80 chipset
- akmods
- ALC1220
- alma linux
- alternatives
- AM4 메인보드
- AMD
- amd 7840hs
- amd 그래픽 게임용
- amd 내장 그래픽 최적화
- anonymous file
- API
- apple.com
- APT
- apt-get
- Armagnac
- Asrock
- ASTALIFT
- Today / Yesterday
- /
- Total
Linux Programmer

사마귀는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환이라고 한다. 바이러스니까 당연히 전염이 되지만, 전염력이 그렇게 좋은 것은 아니라고 한다. 어떤 글에는 수건을 같이 쓰면 안된다고 하지만 의사 선생님 말로는 그냥 원론적으로 그렇다는 것이지 그 정도로 전염력이 높지는 않다고 한다. 사마귀는 조그만 할 때 치료만 잘해주면 더 퍼져나가지 않으므로 감염을 걱정하는 것보다 사이즈가 작을때 빨리 치료하는게 좋다고 한다.같은 위치에 한두번 정도 재발하는 경우도 있지만, 주변 다른 곳에 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만일 같은 위치에 반복해서 재발했다면 치료가 실패했거나 혹은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으니 더 큰 병원에 가서 정밀 검사나 치료를 받는게 좋다고 한다.사마귀 치료 방법은 보통 6가지 정도로 요약된다. 낮은 번호일수록 ..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스크탑 환경인 GNOME3에서는 화면 확대 스케일(screen scale)이 100% 단위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있다. 따라서 설정에 보면 100%, 200%, 300% 식으로 조정 된다. 하지만 요새 판매되는 14인치 노트북의 2880x1800에서는 200%는 너무 크고, 대략 150%나 175% 비율 확대를 사용 해야 편리하다. 125%나 150%, 175%의 값을 지정하려면 아래와 같이 작업한다. (실제 사용할 유저로 작업하므로 root가 아닌 일반 유저로 작업한다.) 명령어에는 따옴표가 섞여 있으므로 타이핑하다가는 오타가 날 수 있으므로 그냥 아래 명령어를 복사해서 붙여넣는 것을 추천한다. $ gsettings set org.gnome.mutter experimen..

Intel 11th gen인 타이거레이크(Tiger Lake)이 탑재된 랩탑을 쓰다가, 13세대인 랩터 레이크(Raptor Lake)로 교체한 뒤에 X 윈도우(GNOME) 화면이 뚝뚝 끊기는 증상이 발생했다. 심지어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면 뚝뚝 화면 멈춤이 발생해서 커서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었다. 도저히 그냥 사용할 수 없을 정도였다. 우선 인텔 12세대부터 추가된 E코어(효율 코어) 때문일거라 생각해서 E코어 작동원리를 의심했다. 하지만 화면 반응이 느려지기는 것에 비해 프로그램 수행 속도는 빨랐다. 그래서 단지 화면 갱신 문제라고 추측하였다. 혹시 내가 커스텀 환경으로 설정한 프로그램 문제인가 싶어서 Fedora 37 Live USB로도 부팅해봤는데, 끊김 현상이 같았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모..

CentOS7.9의 vim 7.4의 python3 지원 패키지 설치 및 빌드 CentOS 7.9에 설치되는 vim-enhanced 패키지는 python 2.x만 지원하고, python 3는 지원하지 않도록 빌드되어있다. 따라서 python3를 이용하는 플러그인 사용시 에러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vim 소스 파일을 다운 받아서 빌드해도 되지만, 그렇게 되면 패키지 버전 관리도 안되고, 빌드를 위해 각종 라이브러리와 헤더를 설치해야 하므로 귀찮아진다. 따라서 미리 빌드된 CentOS 7.9용 RPM 패키지를 올려둔다. 패키지 압축 파일과 설치법은 조금 아래에 적어두었다. 1. 배경 CMake, make 및 C 관련 프로그래밍 툴 강의를 갔는데, CentOS 7.9에서 당연히 vim ultisn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