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x0000007b
- 2차세계대전
- 3.20해킹
- 3d프린터
- 4대강
- 502 error
- 53빌딩
- 7840hs
- 88체육관 수영장
- ABI
- abortive close
- abortive shutdown
- AHCI
- aic8800d80 chipset
- akmods
- ALC1220
- alma linux
- alternatives
- AM4 메인보드
- AMD
- amd 7840hs
- amd 그래픽 게임용
- amd 내장 그래픽 최적화
- anonymous file
- API
- apple.com
- APT
- apt-get
- Armagnac
- Asrock
- Today / Yesterday
- /
- Total
Linux Programmer
George T. Stagg Jr. (조지 티 스택 주니어) 종류 : 켄터키 버번 위스키지역 : 켄터키숙성 : NAS알콜 : 66.1% (non chill-filtered, uncut)용량 : 750ml가격 : $145 (미국 리커샵) 향굉장히 진한 바닐라 향이 지배적이다. 일반적인 버번의 농축액 같은 느낌이다. 66.1%지만 알콜향은 별로 나지 않는다. 깊이 들이쉬면 약한 후추 태운 향 같은 느낌도 난다. 맛첫맛은 굉장히 강하게 쏘는 느낌이 온다. 66.1%의 알콜은 역시 고알콜의 펀치가 있다. 그러나 이내 단맛으로 바뀐다. 캐러멜의 단맛이 2연타를 치면서 올라온다. 그리고 뒷맛은 달고나의 느낌이다.너무 직설적인 맛이라서 복합적인 느낌은 없다. 그냥 바닐라와 캐러멜의 태운 느낌이 지배적이다.
코닥의 필름 전성시대를 의미하는 53 빌딩이 지난 7월 18일 발파 해체 공법으로 무너졌다. 마치 코닥이 무너진 것과 같아서 씁쓸하기도 하다. 코닥은 한때 전세계 필름 시장을 주무르는 큰 손이었지만 지금은 망한 기업일 뿐이다. 기술 개발과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결과는 망하는 것 외엔 없다. 그리고 코닥의 교훈은 다른 기업들에게 경종을 울렸고, 동종 기업들은 새로운 길을 찾아 나서는 경우가 많아졌다. 예로 후지필름의 변화를 볼 수 있다. 후지는 코닥처럼 필름을 생산하던 기업이지만 지금은 사업 다각화를 진행중이다. 물론 자신의 강점을 버리지는 않았다. 자신이 잘하는 것으로 무엇인가 다른 것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산업에 뒤늦게 뛰어들었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
기사 참조 : http://www.it.co.kr/news/article.html?no=2804222 얼마전 본 기사다. 요약하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연령대별 수면 전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보고서를 내놨는데, 전국 16개 시도 5000여 가구, 1만2000명을 대상으로 TV, PC, 전화기, 종이 매체, 게임기 등의 사용시간을 조사한 것이다. 여기서 가구 소득별로 보니 고소득층일수록 TV이용 시간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우선 그림을 보자. 성별, 연령대별, 가구소득별 TV 이용시간 (표=정보통신정책연구원) 그림을 보니 실제로 가구소득이 올라갈 수록 TV 시청 시간이 줄어든다. 이런 기사를 보면 "아~ 고소득층이 되려면 TV를 적게 봐야겠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뒤..
기술의 발전은 많은 직업군을 사라지게 하거나 축소시켰다. 그러나 사라진 직업만큼 새로운 직업군을 만들내기 마련이다. 새로운 기술에 능동적으로 대응한 인간들은 새로운 시대에 주역이 되는 직업을 가졌고,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거부한 사람들은 직업을 잃거나 안좋은 직업군으로 밀려났다. 그렇다고 새로운 기술 발전에 본인의 직업이나 학문이 사라질 것을 너무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새로운 기술, 학문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 되니까 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기술과 학문에 오픈 마인드를 가져야 하고 다양한 전공과 필드 스펙트럼을 가진 사람들과 접촉해야 한다. 왜냐하면 신기술의 시대에는 항상 다양한 기술과 이론들이 서로 경쟁한다. 어떤 것이 최후에 살아남을지는 폭넓은 시각을 가지고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