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x0000007b
- 2차세계대전
- 3.20해킹
- 4대강
- 502 error
- 53빌딩
- 7840hs
- 88체육관 수영장
- ABI
- abortive close
- abortive shutdown
- AHCI
- aic8800d80 chipset
- akmods
- ALC1220
- alma linux
- alternatives
- AM4 메인보드
- AMD
- amd 7840hs
- amd 그래픽 게임용
- amd 내장 그래픽 최적화
- anonymous file
- API
- apple.com
- APT
- apt-get
- Armagnac
- Asrock
- ASTALIFT
- Today / Yesterday
- /
- Total
Linux Programmer
AX900 wifi USB 동글 리뷰 - aliexpress 제품 10종 본문
Aliexpress에서 구입한 AX900 WiFi USB 동글들을 성능 리뷰해봤다. AX900 wifi6 동글들은 대체로 블루투스 기능도 겸하고 있는데, 칩셋을 보면 AIC8800D80, RTL8851BU, RTL8831BU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입해서 테스트한 AX900 제품은 총 10종류로 아래 사진과 같다. 내장 안테나 버전이 6개, 외장 안테나 버전이 4개이다. 상식적으로 외장 안테나가 달린 동글의 성능이더 좋을거라고 생각했는데, 테스트 결과는 의외로 외장 안테나가 있다고 성능이 더 좋은건 아니였다.
참고로 이 테스트는 그냥 재미로 해본 것이다. 따라서 일부분 틀린 정보가 있을 수도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우선 칩셋에 따른 분류로 AIC8800D80 칩셋, 리얼텍 칩셋을 사용한 경우로 분류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1. AIC8800D80 칩셋
AIC8800D80 칩셋을 사용한 제품들은 기본적으로 윈도에 드라이버가 없기 때문에 드라이버를 설치해야만 한다. 드라이버 설치는 희한하게도 USB를 꼽으면 생기는 작은 플래시 외장 디스크가 인식되고, 여기에 10MB 전후의 작은 드라이버 설치 파일이 들어있다. 이를 실행하면 드라이버가 설치된다. 설치 후 바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지만 USB를 다시 뽑았다가 끼워야만 인식되기도 한다.
해당 칩셋을 사용한 제품들은 블루투스 5.3 혹은 블루투스 5.4를 지원한다. 와이파이와 블루투스까지 지원되는 것은 꽤 괜찮은 장점인 것 같다.
리눅스에서는 github에 있는 드라이버를 직접 빌드해야만 하는데, 커널 버전이 6.x 별로 약간 차이가 있어서 소스 코드를 좀 수정해야만 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시간날 때 따로 쓰도록 하겠다.
AIC8800D80은 AIC 반도체 회사라는 곳에서 만들었는데, 솔직히 처음 들어본 회사이다. 이번에 동글을 구매하면서 처음 알았다. 전통적으로 무선 칩셋은 Realtek, Mediatek, Intel, Qualcomm 정도가 제일 많이 들어본 회사이고, USB형태로는 거의 리얼텍과 미디어텍이 제일 많이 쓰였었다. AIC는 말레이시아에 있는 회사인거 같은데 솔직히 정보는 별로 없는 듯 하다.
1.1. AIC8800D80에서 좋았던 제품 #1
위 그림의 제품은 성능이 가장 잘 나왔다. 신호 강도도 가장 잘 잡았다. 다만 약간의 발열이 있다. 신호가 쎈만큼 발열이 나오는 것인지는 모르겠다. 이 제품은 연결되면 푸른색 LED가 켜지는 특징이 있다.
1.2. AIC8800D80에서 좋았던 제품 #2
이 제품도 성능이 가장 잘 나오는 제품 중에 하나였다. 다만 제품이 약간 길쭉했다. 휴대성 측면에서는 좀 안좋을 것 같기도 했다. 겉 면이 무광에 선이 그어져있는데 의외로 가공면이 고급스러운 느낌을 준다.
1.3. AIC8800D80에서 좋았던 제품 #3
이 제품도 신호도 잘 잡고 좋았다. 다만 사이즈가 압도적으로 크다. 거의 10cm미터에 육박하는 크기로 다른 제품의 2배 크기였다. 외장 안테나 때문인지 신호는 잘 잡았다. (그러나 앞서 내장 안테나는 쓰는 제품도 신호를 잘 잡는 것으로 봐서 안테나의 차이가 큰 장점은 아닌것 같기도 하다)
1.4. AIC8800D80에서 노멀한 제품
해당 모양의 제품은 보통이었다. 이런 모양으로 조금씩 다른 형태가 있었는데
1.5. AIC8800D80에서 노멀한 제품
이것도 그냥 보통이었다.
1.6. AIC8800D80에서 노멀한 제품
양옆에 굴곡이 있어서 끼우거나 뽑을때 약간 편한 장점이 있지만, 그 외는 대체로 평범했다.
1.7. AIC8800D80에서 노멀한 제품
외장 안테나가 있지만 신호 강도는 노멀했다.
1.8. AIC8800D80에서 노멀한 제품
이 제품은 안테나가 4개나 있지만 신호 강도는 그냥 노멀했다. 안테나가 혹시 가짜는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어서 실제로 분해까지 해봤다. 결과적으로 멀쩡하게 다 연결되어있는데도 신호강호는 이상하게 약했다. 이건 진짜 아리송했다.
2. 리얼텍 제품들
리얼텍은 AX900 동글 제품들에 RTL8851BU 혹은 RTL8831BU 칩셋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체적으로 리얼텍 칩셋을 사용한 제품이 AIC칩셋 제품보다는 단가가 조금 더 비쌌다. 거의 2배정도의 가격을 형성했다.
2.1. RTL8831BU - 좋은 제품
이 제품은 Realtek RTL8831BU 칩셋을 사용했으며, 외장 안테나는 1개이다. 나사 방식이라 안테나는 분리가 가능하다. 이 제품도 USB연결시 외장 디스크가 인식되고 그 안에 드라이버가 들어있다. 블루투스 지원은 5.3 버전이고, 리눅스에서 지원은 github에서 받아서 빌드하면 된다. 특징으로는 wifi 동작 방식이 infra와 adhoc 둘다 가능하다는 점이다. 신호 강도고 괜찮고 꽤 쓸만했다.
DERAPID도 브랜드가 있는 것 같긴 한데, 아마도 FENVI같이 여러 유통경로로 파는 회사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2.2. RTL8851BU - COMFAST 제품 - 별로
COMFAST는 브랜드가 있는 제품인데도 별로였다. 이 제품은 신호강도가 좀 약한 편이었다. 물론 신호강도가 약해도 와이파이 연결에는 문제가 없지만, 속도가 출렁이거나 느려질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COMFAST 회사 제품은 가장 비쌌지만 가장 신호가 약했다.
3. AXE5400 제품 - WIFI6e
WIFI6e 제품도 있길래 하나 사서 별도로 테스트해봤는데, 그냥 soso했다. 속도는 잘 나오는 편이었다. 칩셋은 RTL8832CU를 사용했으며, 이 제품도 연결하면 USB 외장 디스크가 있고 그 안에 드라이버 설치 파일이 있었다.
4. 총평
같은 칩셋을 사용해도 신호 강도는 매우 달랐고, 외장 안테나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신호가 쎈 것도 아니였다. 그리고 AIC8800D80 제품들도 의외로 쓸만했고, 리얼텍 제품들은 adhoc을 지원한다는 특징과 좀 더 비싼 가격이 특징이었다.
참고
AIC8800D80 리눅스 드라이버 https://github.com/shenmintao/aic8800d80/
히스토리
2025.07.06 초고
'컴퓨터 관련 > 기타 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ChatGPT의 함정: 프로그래머의 관점 (0) | 2025.02.09 |
---|---|
암호만 신경써도 성공적인 보안 체계이다 (4) | 2025.01.10 |
USB4 외장 인클로저 Maiwo K1625 ASM2464PD 칩셋 썬더볼트호환 (8) | 2024.07.07 |
AMD 7840HS 미니 PC Firebat MN56 리뷰 (5) | 2024.06.30 |
크롬에서 탭 닫은 후 우측 상단에 "닫기" 버튼이 보이는 문제 (버그?) (5) | 2024.04.22 |
인텔 N100 미니PC SZBOX W6 리뷰 (2) | 2024.03.25 |
크롬에서 세로 길이가 긴 이미지 늘어짐 및 깨짐 문제 (5) | 2024.01.28 |
썬더볼트와 USB4, 전송속도 및 호환성 (케이블 차이) (4) | 2023.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