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컴퓨터 관련/리눅스, 유닉스 (19)
Linux Programmer

Fedora 35 에서 Intel JHL 8540 Maple ridge 칩셋이 내장된 메인보드(B550 ProArt)의 썬더볼트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한 글이다.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환경 M/B : ASUS B550 ProArt OS : Fedora 35 (Kernel 5.17.5-200) * 증상 및 확인 유저 권한 : root (모든 명령어는 root 권한으로 실행한다) 썬더볼트 하드웨어 인식을 lspci 이나 journalctl (== dmesg) 으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lspci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이 Maple Ridge 칩셋이 장착된 것이 확인된다. 즉 하드웨어 인식은 되고 있다는 뜻이다. # lspci ...생략... 00:18.7 Host bridge..

Fedora 34에서 35로 업그레이드 후에 유독 youtube 재생이 되지 않았다. (희한하게 2대의 PC중 Intel 계열에서는 멀쩡하고 AMD쪽에서만 문제를 일으켰는데, 아마도 커널의 호환성도 문제가 있는것 같다) 증상은 웹브라우저에서만 발생하고, minitube처럼 아예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youtube 재생이 되는데, 유독 웹브라우저만 안된다. 증상은 youtube 영상에 들어가면 그림처럼 영상 가운데 작은 원(circle? wheel?)이 빙글빙글 돌면서 재생이 안된다. 하지만 우측 화살표 키로 영상을 스킵하면 중간중간은 네비게이션 되는 것으로 봐서 네트워크 문제는 아닌듯 하다. 게다가 chrome과 firefox 모두 같은 증상이므로 크롬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되었다. 혹시나 해서 ex..

1. nimf vs ibus 한글 입력기로는 ibus, nimf 외에도 많이 있지만, 대부분 ibus나 nimf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ibus는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 설치되는 기본 입력기로서 성능은 별로다. 특히 끝글자 버그라든지, facebook에서 입력이 안되고 한글을 먹어버리는 버그라든지... 여러 골치아픈 버그가 있어서 ibus-hangul을 혐오하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외부 패키지 설치를 금하는 곳에서는 어쩔 수 없이 ibus-hangul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외부 패키지를 설치해도 괜찮은 경우라면 nimf 사용을 주로 권한다. 본인도 Fedora를 쓰는 데스크탑에서는 nimf 사용한다.(CentOS도 사실상 설치는 비슷하다. 패키지 위치만 다를 뿐이다.) 2. nimf 설..

Failed to initialize NVML: Driver/library version mismatch nvidia 커널 모듈 드라이버와 라이브러리 버전의 미스매치 에러 해결 방법. 이 방법은 akmods를 사용하는 Fedora에서 작업한 것이다. 우분투는 조금 다를 수도 있다. 1. nvidia 에러 메시지 nvidia-smi 실행시 "Failed to initialize NVML: Driver/library version mismatch" 메시지와 함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nvidia-smi Failed to initialize NVML: Driver/library version mismatch 이런 경우에 journalctl -xe로 로그를 보면 다음과 같이 에러를 볼 수 있다. -..

Fedora 31 upgrade 뒤에 한글 입력기가 이상하게 작동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아마 내 기억에 29에서 30으로 업그레이드 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던 것 같다. 이게 xkb-options 부분을 커스터마이징 한 경우나 혹은 몇몇 추가 기능을 커스터마이징 한 경우에만 발생하므로 보편적인 일은 아니다. 이 문제의 증상은 구글 크롬(google chrome)에서 쌍자음을 타이핑할 때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있"을 타이핑하려고 하면 보통 "이"에서 "shift + ㅅ"을 누르는데, shift를 누르는 순간 단어가 완성되고 "이ㅆ"으로 변경되어버린다. 마찬가지로 "닦"을 타이핑하려고 하면 "다ㄲ"이 되어버린다. 이 문제는 ${HOME}/.config/dconf/user 파일이 꼬여서 문제가 ..

인터넷의 글이나 유튜브를 보면 리눅스 배포판 순위, 혹은 리눅스 순위 등등 글이 올라올 때가 있는데, 이때 종종 distrowatch 사이트를 참조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오늘자로 distrowatch.com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이 순위를 보고 "제일 인기 있는 리눅스는 MX Linux구나"라고 생각한다면 잘못된 판단이다. 만일 CentOS를 쓰려고 하는데, 겨우 15위인 거 보니 인기가 없으니 CentOS 쓰면 안 되겠네라고 생각한다면 더 큰 오류다. 실제로 구글에서 "리눅스 배포판 순위"로 검색하면 디스트로왓치를 근거로 "최고 인기는 민트 리눅스입니다 다들 민트 쓰세요~" 하는 글도 볼 수 있고, 심지어 뉴스 기사도 이렇게 쓰인 것을 봤다. 그러나 저 순위는 단순하게 distrowatch.c..
셸의 발전 순서대로 보면 다음과 같다. Bourne shell : /bin/sh - POSIX shell C shell : /bin/csh - Sun microsystem (BSD) Korn shell : /bin/ksh bash : /bin/bash zsh : /bin/zsh 1. bash 이전의 셸들 가장 유명한 셸은 초기 유닉스에서 쓰였고, 아직까지도 현역으로 쓰이는 본셸(Bourne shell)이 있다. Steve Bourne이 만들었고, 그 이전에 유닉스의 아버지가 만들었던 Thompson shell이 있지만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본셸은 POSIX 표준에 기본 셸로 정해져서 POSIX shell이라고도 부르고, 실행 파일명을 따서 sh shell이라고도 부른다. 그 후 BSD종주 역할을 담당했..

Linux를 쓰다보면 caps lock 키를 쓸 일이 별로 없어서 control 키로 변경해서 사용하는 편이다. 그리고 caps lock은 left shift + right shift로 lock하는 기능을 쓴다. 이 설정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gnome-tweaks가 설치되어있어야 한다. 텍스트 모드에서 하는 방법도 있지만 매우 귀찮아진다. gnome-tweaks를 실행한 뒤에 키보드 부분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추가 배치 옵션" 부분을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림에서 보이듯이 Ctrl 위치 메뉴에서 "Caps Lock키를 Ctrl키로"를 체크해주면 된다. 그러면 진짜 caps lock을 사용할 일이 있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바로 위에서 말했듯이 양쪽 shift를 동시에 누르는 방..
파일(file)에 대한 토막글 : 파일이란 무엇인가? 토막글인데 쓰다보니 길어졌다. 보기 귀찮은 분들은 TL;DR을 참고. (페북에 썼다가 짬이 생긴 시간에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려둡니다. 이 글은 운영체제(OS)에서 핵심 파트인 파일 시스템(FS)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중요 개념인 경로(path)에 대해서 추상적이고 바탕이 되는 이론을 설명하는 글이다. 참고로 경로를 구성하는 것은 directory와 filename이며 /bin/bash 라는 파일이 있다면 "/bin"이 디렉토리, "bash"가 파일네임(혹은 basename이라고도 함)이 된다. 보통 file이라고 불리는 덩어리를 읽거나 쓰려면 메모리에 mapping(다른 말로 하면 사본을 만든다고 이해하면 됨)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외부 접점(=경..
GNOME3 desktop environment에서 기본 파일관리자 변경하기 GNOME3환경에서 cinnamon nemo 파일관리자를 기본 애플리케이션(default application)으로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 개인적으로 기본 파일관리자보다 cinnamon의 nemo가 더 좋은 것 같다. (아래 명령은 CentOS와 Fedora에서 실행한 것이다. debian 계열은 패키지 관리자 명령만 apt로 바꾸면 된다.) 0. nemo는 미리 설치해둔다.yum을 사용한다면 yum install nemo 로 명령하면 된다. dnf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dnf install nemo로 설치하면 된다. 설치 시 cinnamon 환경에서 사용하는 의존성이 걸린 패키지들이 같이 설치될 것이다. 1. ..
MPV 설정 파일 (mpv.conf) mpv는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애용되는 미디어 플레이어이다. default 설정도 크게 불편하지는 않지만 조금 더 손보면 좋다.mpv 설정 파일의 위치는 ~/.config/mpv/mpv.conf 이다. 본인이 쓰는 설정은 대충 다음과 같다. keep-open=always geometry=50%:60%autofit=1600no-borderosd-blur=2.5osd-border-size=1osd-level=1osd-align-y=bottom 각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man mpv 의 맨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설정 기능은 명령행에서 롱 옵션인 --를 붙여서 사용할 때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keep-open 옵션은 명령행에서 --keep-open=al..
CentOS7 리눅스 한글 입력기 설정CentOS 7 리눅스의 한글 입력기를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겠다. 설정은 로그인 할 때 하는 것과 로그인 후에 제어판(control panel)에서 하는 방법이 있다. 어차피 로그인 후에 제어판에서 다시 설정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제어판 설정까지 완료해야 제대로 작동한다.참고로 CentOS에서 사용하는 한글 입력기는 ibus-hangul이다. 간혹 해당 패키지가 설치되지 않아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럴 경우에는 "yum -y install ibus-hangul" 명령어를 실행하여 설치하면 된다. 1. 처음 로그인에서 설정하는 부분우선 CentOS7을 설치시 한글로 설치하면 최초 로그인할 때 한글 설정 창이 나타난다. 이 과정은 큰 의미가 없다. 어차피 뒤에..
리눅스에서 5버튼 혹은 7버튼 휠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 기본 3버튼(좌우버튼 + 휠버튼)외에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윈도라면 웹 브라우저에서 앞,뒤 페이지로 이동할 때 마우스 옆에 딸린 2개의 추가 버튼을 엄지로 눌러주면 그만이지만, 리눅스는 이게 안된다. (마우스 모델에 따라서 기본으로 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굳이 이 방법을 쓰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에서 앞뒤 페이지로 갈 때 마다 단축키인 를 대신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건 매우 귀찮다. 그러나 리눅스에서도 몇 가지 작업을 해주면 마우스의 다른 버튼에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이 글은 레드햇 리눅스 계열(CentOS, RHEL, Fedora Linux)에서 작성하였다.그리고 데비안 계열(Ubuntu, Mint,..
리눅스 아재력 or 할배력 테스트 이 테스트는 리눅스 옛날 명령어만 알고 있는지, 아니면 대체된 새로운 명령어도 알고 있는지 알려줍니다. deprecated된 옛날 명령어(일명 아재명령어 or 할배명령어)만 알고 있다면 이제 새로운 명령어와 기능들도 열심히 배우도록 합시다. * 사용방법 아래 명령어나 기능 중에 a가 가장 오래된 기능이고, 이후 보기들(b,c,d)은 대체된 새로운 기능이거나 명령어입니다. 예를 들어 문항에서 a, b, c를 모두 알고 있다면 최근 새로운 기능까지 모두 알고 있는 것입니다. Part 1 : 기초 명령어, 셸 1-1. 터미널 화면 clear (or scroll up) a) clear b) 아직도 화면을 지우기 위해 clear를 타이핑하고 있나요? 단축키 하나로 해결할 수 있는..
* 리눅스에서 엔비디아(nvidia)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 설치 Last updated on Sat 14 May 2022 리눅스를 공부할 때 vmware, virtualbox를 설치한 뒤에 가상머신으로 리눅스를 설치하고 있는가? 만일 가상머신으로 리눅스를 돌리고 있다면, 중급 이상의 리눅스 실력으로 성장하기 힘들다. 왜냐하면 가상머신은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vmware, virtualbox에서 호환성이 높은 드라이버를 가상으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류 메시지를 경험하지 못하고 리눅스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회사나 연구실에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위해 CUDA를 사용하거나, 혹은 그래픽 처리를 위해 리눅스를 사용한다면 리눅스를 직접 설치해야만 한다. 허나 직접 설치해보면 ..
vmware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사용할 일이 생겼는데, 해상도가 이상했다. 모니터 자체의 해상도는 1920x1080인데 리눅스 시스템 설정의 해상도 리스트에 1920x1200까지만 있고 1920x1080가 없었다. 그래서 xorg 패키지의 버그인가 해서 이것저것 패키지를 업데이트 해보기도 했는데 결국 안됐다.검색해보니 해결책이 있었다. (http://pastebin.com/ZjuHkK44) 원문을 보기 귀찮은 사람을 위해 요약하자면 /etc/X11/xorg.conf 파일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넣어두면 시스템 설정의 해상도 리스트에 1920x1080이 나타난다. Section "Device" Identifier "Configured Video Device" EndSection Section "Monitor..
얼마전 무심코 mpstat 명령을 실행했는데 시스템에 아직 설치가 안된 상태였다. 그런데 그냥 명령어가 실패했나부다 했는데........ 다음과 같은 친절한 메시지가 나온다. # mpstat bash: mpstat: command not found... Install package 'sysstat' to provide command 'mpstat'? [N/y] * Running.. * Resolving dependencies.. * Downloading update information.. mpstat명령이 들어있는 sysstat 패키지를 설치할 것이냐고 물어보는 것이 아닌가? 언제부터 추가된 기능인지는 모르겠으나 새삼 편리해서 놀랬다. 리눅스가 이렇게 친절해도 되는건가? ^^ 왠지 까칠한 리눅스가 더 ..
Fedora13에서는 spin 배포판 지원이 활발해졌습니다. 여러 다양한 목적에 맞게 spin된 배포판을 http://spins.fedoraproject.org/에서 볼 수 있습니다. (spin에는 데스크탑 화면에 따른 형태, 모바일 최적화, 보안 강화판등 여러 용도의 페도라가 지원됩니다.) * 설치 방법 추가 인터넷을 이용해서 설치하는 방법이 추가되었습니다. 사용자는 http://boot.fedoraproject.org 에서 작은 부트 이미지로 부팅하면 나머지는 필요에 따라서 인터넷으로 바로 다운받아서 설치합니다. 혹 Fedora 설치에 앞어서 try out 하려면 live CD (약 700M남짓)으로 부팅해보기 바랍니다. 그리고 마음에 맞는다면 설치 DVD로 설치해보세요. live CD는 http:/..
*TCP auto tuning 네트워크 라인 속도가 충분히 빠르다면 TCP 소켓의 버퍼가 클수록 전송속도에서 유리해진다. 그러나 프로그래머가 일일히 네트워크 라인 속도를 체크하여 소켓 버퍼를 조정하도록 프로그래밍 하는 것은 매우 귀찮은 일이다. 따라서 리눅스나 최근 운영체제들은 운영체제에서 전송속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켓 버퍼의 크기를 늘려주거나 반대로 줄여주어 쓸데없는 메모리 낭비를 막아주는 기능이 도입되었다. 리눅스에서는 이를 TCP auto tuning이라고 하며 Linux 2.4.16 or 2.6.8 이후부터 제공되었다. TCP auto tuning의 리눅스 커널 설정 항목 값 설명 net.ipv4.tcp_moderate_rcvbuf boolean : 0=off, 1=on 수신버퍼에 TCP au..